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

경, 위사의 종류 판별 견본을 구성하는 경, 위사의 종류를 아는 데는 다음과 같은 항목을 살피며 직물을 구성하는 경, 위사를 분석하는 방법을 크게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 필라멘트인가 방적사인가의 여부 - 단사인가 합사인가의 여부 - 보통(형상) 사인가 특수(의장) 사인가의 여부 - 사 원료의 종류와 혼용률 (원료 감별) - 가공사 (광의 : 벌키사, 변연사) 등인가의 여부 - 섬유 종류의 판별 - 혼방사 등 위의 항에 대해서는 벌키 (bulky) 가공 등을 한 것은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며 직물에 쓰이는 종류도 많고 교직 등에 따라서 변화가 풍부합니다. 따라서 섬유의 종류 등에 있어서는 세심한 주의를 필요하며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병용해서 판단함이 좋습니다. 또 육안검사를 통해 대체적으로 알 수 있는 것도 있으며 복.. 2022. 8. 12.
직물조직 및 배열의 분해 거의 대부분 조직과 배열은 공배수의 개념(극히 예외는 비대칭 배열 또는 Broken weave)으로 설계되므로 조직과 배열을 분해한 뒤에는 이를 확인하도록 합니다. 따라서 사전에 배열 혹은 조직의 최소 일완 전조직 범위를 확인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부분적인 분해 착오가 있더라도 수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일반적인 직물 조직의 분해는 경사방향을 세로축으로 놓고 견본의 최우 측 경사를 하단에서 상단으로 핀으로 젖히면서 경사의 부출 상태를 의장지에 표시하고 위사 일 완전 조직이 반복되면 그다음 왼쪽의 경사 분해를 계속하는 방법입니다. 다수의 색상 또는 사종이 배열된 경우에는 의장지 우측과 하단에 배열을 표시합니다. 직물의 교착상태를 조직이라 하며 표시법은 방안지(그래프지) 또는 의장지에 순차적으로 경사가 뜨는.. 2022. 8. 11.
경위사 밀도, 견본 재단 및 중량 측정 (1) 경, 위사 밀도 직물의 밀도는 보통 정리된 직물의 단위장에 있어서의 경, 위사의 본 수를 뜻합니다. 견본이 큰 경우에는 4~5개소 이상 조사하여 평균치를 구하면 좋습니다. 또 이때에는 생지로부터 정리 가공에 이르는 제 수축 변화를 충분히 고려하여 관찰함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밀도를 조사하는 데는 아래와 같은 방법이 쓰입니다. -밀도가 적은 것은 분해경에 의하여 단위 길이 간의 본 수를 헤아린다 -다층 조직, 중조직 또는 모우가 많은 것은 분해경으로는 어려우므로 적당한 길이로 잘라 풀면서 헤아린다 -의 경우에는 경위사의 종류, 줄무늬 등을 구하여 이후 분해 설계의 재료로 쓴다 -견본에 변사부가 있으면 변사부를 기준으로 하여 위사의 밀도를 조사한다 -조직에 의하여 완전수 또는 호(줄무늬) 모양 등.. 2022. 8. 9.
직물의 폭 직물의 최종 가공 폭은 바이어의 요구 규격이 있으므로 문제 되는 사항이 아닙니다. 문제는 최종 가공 폭을 얻기 위한 반제품 상태의 폭 설정으로 폭 계산은 직물 분해만 아니라 설계에서도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적절한 성통폭이란 제직 후 이완상태의 위사 방향 생지축률과 가 공축률을 고려하여 의도하는 최종 제품의 품질을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는 폭을 말합니다. 이것은 텐터 작업 직전의 직물 폭이 적정 범위에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공기 견본의 위 사축률을 측정하여도 성통폭을 추정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며, 통상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는 부분입니다. 그 이유는 성통폭과 밀도를 조합하여 변화시키고 가공조건을 연계시켜서 최종 제품의 폭과 밀도를 맞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공지 전 폭의 견본이 제공되.. 2022. 8.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