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 섬유의 특성 - 섬유장/굵기 (1) 섬유장 (Fiber length) 섬유는 가늘고 긴 것이 특성이며 섬유의 종류에 따라 그 길이가 다릅니다. 인조 섬유는 길이를 자유롭게 만들 수 있지만 천연 섬유의 길이는 한계가 있으며 실로서 사용할 경우 긴 것일수록 만들기 편리하고 외관이 좋으며 윤활성이 좋습니다. 천연 섬유는 같은 종류의 섬유일지라도 품종에 따라, 또 산지에 따라 그 길이의 차이가 있으며 면섬유는 20~50mm 정도입니다. 양모 섬유는 20~200m이며 견섬유의 아주 긴 것은 2000~3000m 인 것도 있으나 보통은 700~800mm의 길이를 가집니다. 생사, 인조 섬유 등은 단섬유를 당겨서 가지런히 해줌으로써 실로 만들 수 있지만 면, 마류 등은 복잡한 방적 공정을 거쳐서 단섬유를 집합 연결시키지 않으면 실이 되지 않습니다.. 2022. 8. 1. 섬유의 종류 (2) 인조섬유 인구의 증가와 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섬유의 수요가 급증하고 새로운 섬유 소재를 요구하게 되었으며 과학의 발달로 인공적으로 섬유를 만들 수 있게 되었고, 이와 같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섬유를 인전 섬유 또는 화학 섬유라고 합니다. 인조 섬유는 원료 화합물이 유기 화합물 또는 무기화합물이냐에 따라 유기질 섬유와 무기질 섬유로 크게 나뉘고 유기질 섬유는 그 원료가 천연적으로 존재하였던 것으로부터 만든 천연 고분자계와 원료 고분자를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만든 합성 고분자계로 나눕니다. 인조섬유의 초기에는 면 리터나 목재 펄프와 같이 천연 섬유 중에서 길이가 너무 짧아 직접 섬유 재료로 사용하기에 부적당한 원료를 비교적 간단한 화학적, 기계적 조작은 거쳐 섬유로 이용하기에 알맞은 형태로 바꾸어 놓았습니다. 그 후 .. 2022. 8. 1. 섬유의 종류 (1) 천연섬유 천연섬유는 자연계에서 섬유 형태로 생산하여 직접 섬유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면, 아마 등과 같이 식물체에서 얻는 것을 식물성 섬유라고 합니다. 이들 섬유는 화학적으로 보면 모두 셀룰로오스로 되어 있어 셀룰로오스계 섬유라고 합니다. 또한, 동물체로부터 얻는 섬유를 동물성 섬유라 하고 화학적 성분이 단백질이므로 단백질계 섬유라고 합니다. 식물성 단백질로부터도 섬유를 만들게 되었으며 이런 인조 단백질 섬유의 성질은 천연 식물성 섬유보다는 천연 동물성 섬유에 가깝습니다. 이것은 섬유의 근원이 식물체 또는 동물체인 것보다는 섬유를 구성하는 화합물이 셀룰로오스계인지 또는 단백질계인지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섬유를 식물성, 동물성으로 분류하기보다는 화학적 조성에 따라 셀룰로오스계 .. 2022. 8. 1. 섬유의 정의 섬유란 생물분야에서 생체의 조직을 이루는 가늘고 긴 실모양의 구조 단위를 뜻하기도 하는데, 섬유산업과 관련이 있는 사람들이 섬유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관념은 면이나 양모처럼 가늘고 길며 부드러운 물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섬유란 육안으로 직접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가늘고 길이는 직경 또는 폭에 비하여 적어도 100배 이상인 고체로서 강도, 굴요성, 방정석과 같은 기본적인 성질과 실용적인 면에서 바람직한 흡습성, 탄성이나 화학적인 안정성과 같은 2차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특히 공업용 섬유는 굵기가 몇십 um 이하이며 길이는 굵기의 몇 백 배 이상 됩니다. 일반적인 섬유는 저분자가 중합되어 고분자 화합물을 이룬 것이며 천영 생성물과 인공적으로 만든 합성 물질에 이르기 가지 많은 종류가 있.. 2022. 7. 20.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