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섬유20

섬유의 특성 - 초기 탄성률 섬유를 인장 할 때 신장도는 일정한 한계 내에서는 훅의 법칙에 따라 인장력에 정비례하여 증감하여 인장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길이로 되돌아가지만 그 한계를 넘어서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갈 수 없게 됩니다. 즉 섬유의 인장 강신도 곡선이 워점 부근에서는 대략 직선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이 신장의 초기에 있어서 신장도와 하중의 비, 즉 원점에서 강신도 곡선에 절선을 그었을 때 신장도와 강신도 곡선이 이루는 가의 탄젠트를 초기 탄성률이라고 합니다. 초기 탄성률은 신장의 초기, 즉 아주 작은 신장에 필요한 힘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가 되므로 섬유의 강, 연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섬유의 초기 탄성률, 즉 각 탄젠트가 크다는 것은 그 섬유가 뻣뻣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 견 등은 초기 탄성률이 큰 강직한 대표.. 2022. 8. 7.
섬유의 특성 - 흡습성 섬유는 대기 중에서 스스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며 흡수하는 수분의 양은 섬유의 종류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이것은 섬유를 구성하는 화합물의 친수성 감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같은 섬유라도 온도 및 상대 습도의 차이에 따라 흡수 한도가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습도의 증가에 따라 흡습량은 증가하지만 증가 비율은 반드시 습도의 증가에 정비례하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함수율(함유 수분율 : Mc) 은 수분을 흡수하고 있는 시료의 무게에 대한 흡수된 물의 양의 백분율을 말합니다. 그러나 섬유의 흡수량은 앞에서 말한 함수율과는 달리 건조 시료의 무게에 대한 섬유가 흡수하고 있는 물의 양의 백분율을 사용하며 이것을 수분율(수분 회복률 : Mr)이라고 합니다. 섬유의 수분율은 대기 중의 습.. 2022. 8. 7.
섬유의 특성 - 강력과 신도 섬유의 강려과 신장도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섬유제품의 내구성은 조직이나 구성법 등에 의해 달라지지만 같은 상태의 것이라도 사용한 섬유의 강신도의 크고 작음에 의해 좌우됩니다. 강력에는 인장에 대한 강력, 굴곡에 대한 강력, 마찰에 대한 강력 등과 같은 역학적 외력에 견디는 힘과 자외선, 온습도, 화학 약품류 등에 의한 풍화, 취화에 견디는 힘 등이 있으며 이것이 총합되어 실이나 직물의 내구력이 결정됩니다. 이들 중에서 인장에 견디는 힘이 대표적인 것이며 측정도 쉽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인장 강도를 가지고 섬유의 강력을 나타냅니다. 섬유의 강신도는 흡습의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비교할 때는 반드시 온도와 상대 습도를 일정한 조건으로 하지 않으면 의미가 없습니다. 일정한 조건을 표준 상태라 하.. 2022. 8. 2.
섬유의 특성 - 섬유의 단면 섬유의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섬유의 종류에 따라 각각 특징 있습니다. 섬유는 굵기가 가늘어서 지름이 10-30um에 불과하지만 이 단면 모양은 섬유의 광택, 레질이언스, 피복성, 촉감 등 섬유의 성질 및 섬유 제품의 성질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섬유의 단면이 원형 또는 원형에 가까우면 촉감이 아주 부드러운 반면 피복성은 나빠집니다. 또 원형 단면 섬유는 위에 묻어 있는 오염을 확대, 투과 함으로 불결하게 보입니다. 천연 섬유 중에서는 양모, 인조 섬유 중에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등 용용 방사 법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섬유들이 원형 단면을 가진 대표적인 것으로서 촉감이 비교적 부드럽고 투명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아세테이트는 그 단면형이 주름 잡혀 있기는 하지만 레이온처럼 날카롭지.. 2022. 8.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