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물의 명칭
직물의 명칭은 트로피컬, 아문젠 등과 같이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제품이 있는가 하면 종류가 너무 다양하여 이를 일일이 명명하고 제삼자가 알 수 있게 한다는 것은 어렵습니다. 일반으로 지명, 용도, 외관, 원료, 조직, 상표명, 가공 등 각각의 성상 혹은 특징을 살려서 붙이게 됩니다. 우리가 볼 수 있듯이 같은 품종이더라도 산지, 제조자가 다르면 다른 명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직물의 명명법에도 통용되는 규칙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번수, 소재, 조직, 가공특성을 조합하여 이름 붙이는 것이 관례입니다.
예) 2/72 Nm T/W 2/2 saxony
(2) 직물의 용도
직물 규격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용도에 맞게 설계 시 이를 반영하여야 합니다. 즉 품질이나 품질 규격이 해당 용도에 적합한지를 검토하여 부적합하다면 바이어의 확인을 받거나 예상 문제점을 사전에 통보해야 추후 분쟁의 소지를 없앨 수 있습니다. 의류용 직물을 예로 든다면 직물의 최종용도가 슈트 또는 슬랙스, 재킷, 블라우스, 셔츠 인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신사복, 숙녀복 그리고 아동복은 설계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재킷은 슈트보다, 숙녀복은 신사복보다 품질을 부드럽게 하고 있습니다. 현재 직물이 사용되는 범위는 매우 넓으며 주된 용도는 물론 피복이나 양산지, 침구지, 코튼지, 천막지, 실내 포장지, 수예품, 기타 잡화품에 이르는 여과포, 공업용 벨트, 범포, 타이어 등에 이르고 있습니다. 용도에 따라서 직물의 폭, 길이가 드리게 되고 최종 가공, 정리 방법이 서로 다르므로 용도에 따라 충분히 고려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위사 밀도, 견본 재단 및 중량 측정 (0) | 2022.08.09 |
---|---|
직물의 폭 (0) | 2022.08.09 |
직물분해 (0) | 2022.08.08 |
섬유의 포합성 (0) | 2022.08.08 |
섬유의 특성 - 내약품성, 염색성 (0) | 2022.08.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