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섬유

직물의 폭

by 진저님 2022. 8. 9.
반응형

직물의 최종 가공 폭은 바이어의 요구 규격이 있으므로 문제 되는 사항이 아닙니다. 문제는 최종 가공 폭을 얻기 위한 반제품 상태의 폭 설정으로 폭 계산은 직물 분해만 아니라 설계에서도 가장 중요한 사항입니다.

적절한 성통폭이란 제직 후 이완상태의 위사 방향 생지축률과 가 공축률을 고려하여 의도하는 최종 제품의 품질을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는 폭을 말합니다. 이것은 텐터 작업 직전의 직물 폭이 적정 범위에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공기 견본의 위 사축률을 측정하여도 성통폭을 추정하기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며, 통상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는 부분입니다. 그 이유는 성통폭과 밀도를 조합하여 변화시키고 가공조건을 연계시켜서 최종 제품의 폭과 밀도를 맞출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가공지 전 폭의 견본이 제공되어 위사의 축율을 측정하여 성폭 즉 최초의 위사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으나 분해 견본이 대부분 소형으로 제공되고 있다는 것과 성폭을 추정하기 곤란한 제품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경험 지식과 동시에 분해 위사의 축율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축율

직물은 경, 위사의 교착에 의하여 짜인 것으로 그 굴곡된 부분으로 인해 폭 또는 길이가 수축되는데 이것을 직축이라 합니다. 또 생지를 가공, 정리함에 따라서 수축이 다시 일어나게 되며 이것을 가공 축이라 부릅니다. 

직축을 측정 시 주의할 것은 제직 된 생지의 장력이 완화된 상태에서 생지의 폭과 길이를 측정해야 합니다.

견본의 축율측정은 분해사의 크림프가 곧게 펴질 수준의 파지 장력에서 길이를 측정합니다.

 

1) 직축

직축은 경, 위사의 굴곡이 많은 평직에 많고 능, 주자 조직과 같이 굴곡이 적은 것은 축율이 적습니다. 

그러나 원사의 종류, 굵기, 밀도, 장력 등의 조건에 의해서 변동이 있게 되며 주로 다음과 같은 것에 의하여 영향을 받습니다.

 

- 원사 품질의 관계의 의한 것

- 경, 위사의 굵기에 의한 것

- 경, 위사의 굵기에 대한 연(꼬임) 또는 딱딱함에 의한 것

- 경, 위사의 밀도에 의한 것

- 운사의 탄성에 의한 것

- 제직 준비의 제조건에 의한 것

- 제직 중의 경, 위사의 탄력 관계에 의한 것

- 바디 살에 통입한 방법에 의한 것

- 템플의 효력과 기구에 의한 것

- 공장 내 온습도의 관계에 의한 것

 

2) 정리 가공 축

정리 축에 의한 수축의 정도는 직물의 종류, 조직, 경사, 위사의 밀도, 가공방법에 의하여 다르게 됩니다.

 

3) 직축과 정리 축의 측정

직물은 전술한 것과 같이 직축, 정리 축이 있으므로 분해 시에 정확히 조사 히지 않으면 다음 설계를 할 때에 정확인 기할 수 없습니다. 직축이나 정리 축을 합쳐서 정확히 조사하면 성통폭, 정경장은 쉽게 산출할 수 있습니다.

직물의 수축률은 경험으로부터 얻어지기도 하지만, 보통은 아래 방법에 따라 산출하게 됩니다. 우선 견본상에서 일정한 길이를 표시한 후 실을 풀어낸 후에 실이 팽팽하게 될 정도로 가볍게 당긴 후에 다음 식을 쓰면 산출됩니다.

 

수축률(%) = 당긴 실의 길이-견본의 길이 / 견본의 길이*100

 

이때 당기는 힘에 따라 수축률의 산정이 오차가 생기게 되므로 가능하면 시료 길이를 길게 하고 3 개소 이상 반복 측정토록 하고 직물에 기모가 있는 것과 교직물의 1부와 같이 견본으로부터 실의 채취가 어려운 것은 특히 주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얻어진 직축은 분해할 직물 또는 설계할 직물의 성폭이나 정경장 산출의 기준이 된다. 

 

직물분해 - 직물의 폭

반응형

'섬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물조직 및 배열의 분해  (0) 2022.08.11
경위사 밀도, 견본 재단 및 중량 측정  (0) 2022.08.09
직물명칭 및 용도  (0) 2022.08.08
직물분해  (0) 2022.08.08
섬유의 포합성  (0) 2022.08.08

댓글